본문 바로가기
🏛 정책·지원금 정보

2025 미국 직구 관세 총정리 (상호관세, 면세한도, 합산과세)

by 새벽팁노트 2025. 7. 23.
반응형

 

2025 직구 관세 대폭 변경 사진 관련.

 

 

 

🇺🇸 2025년 미국 직구, 왜 이렇게 바뀐 걸까요?

2025년, 미국은 ‘미국 우선주의(America First)’를 다시 전면에 내세우며 세계 무역질서에 강한 압박을 가하고 있어요.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2기 행정부는 4월 초 국가비상사태법(NEA)국제경제비상권한법(IEEPA)에 따라 상호관세(Mutual Tariff) 정책을 전격 시행했답니다. 이로 인해 한국을 포함한 주요 교역국은 각기 다른 수준의 보복성 관세를 부과받게 되었고, 그 여파는 해외직구 시장에도 그대로 전해졌어요.

📦 미국 직구 핵심 꿀팁 총정리!

미국 무역대표부(USTR)는 ‘2025 국별 무역장벽보고서’에서 한국, 중국, 일본을 주요 관세대상국으로 지정했어요.

적용된 상호관세율은 아래와 같아요:

  • 한국: 25% – 높은 관세율로 고가 제품에 큰 타격
  • 중국: 최대 104% – 일부 품목은 100% 이상 관세 부과
  • 일본: 15% – 자동차 관세 인하 + 대규모 투자 약속 결과

이 중 일본은 미국에 약 760조 원 규모의 투자를 약속하며 자동차, 반도체,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서 공동개발 협력을 체결했고, 그 덕분에 자동차 관세를 기존 25% → 12.5%로 인하, 기본관세 포함 총 15%로 합의되었어요. 직구할 때 우리가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건 면세 기준</strong이에요. 2025년 현재 미국 직구 면세 기준은 200달러 이하 (약 27만 원). 일본이나 중국은 150달러로 조금 더 낮아요. 하지만, 금액보다 더 중요한 건 "합산과세"랍니다!

Key Points
 
✔️ 같은 날 입항된 물품은 합산과세 대상이에요
✔️ 개별통관 요청하면 합산 피할 수 있어요 (단, 배송비 포함 기준 주의!)
✔️ 블랙프라이데이 시즌엔 특히 더 주의! 날짜 분산해서 보내세요
✔️ 개인통관고유부호는 필수! 수취인 기준으로 합산됩니다

🚫 면세 안 되는 품목, 꼭 확인하세요!

  1. FDA 규제 품목: 건강기능식품, 의약품, 의료기기 등은 미국 FDA의 규제를 받아요.
    💊 특히 멜라토닌, 덱스트로메토르판 등은 수량 제한이 있거나 반입 금지!
  2. 산업 보호 품목: 철강, 알루미늄, 자동차 부품 등은 25~50%의 고율 관세가 부과되며, 가격과 무관하게 과세됩니다.
  3. 기타 특별 수입 제한: 무선기기, 무기 유사품, 종자류, 반려동물 사료 등은 검역·허가 필수입니다.
  4. 농산물/가공식품: 드라이 플라워는 가능하지만, 약품처리된 프리저브드 플라워는 과세 대상!
    미국산 된장, 고추장 등은 2026년부터 면세 제외 예정이에요.

💬 마무리 한마디 – 2025년 직구는 전략이 생명!

2025년, 해외직구는 단순히 ‘싼 게 좋은 것’에서 벗어나야 해요. 정보력, 통관 전략, 정책 이해가 모두 필요한 시대가 되었답니다. 관세, 허가, 규제는 더 복잡해졌고, 국가별 무역 분쟁도 언제든 바뀔 수 있어요. 그렇기에 우리는 지금 이 순간에도 변화하는 무역 환경을 따라가야 하고, 직구를 하더라도 꼭 **품목, 금액, 입항일, 통관 방식**까지 세밀하게 확인해봐야 합니다.

👉 “한 번에 많이 사서 배송비 아끼자!” 보다는

👉 “조금씩 나눠서 안전하게 통관하자!”가 정답이 될 수도 있어요.

※ 본 글은 2025년 7월 기준 공개자료, 관세청·식약처·USTR 고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
반응형